여성크리닉

여성암

유방암

발생과 정의

유방암 발생과 정의

유선, 유관조직 및 지방 으로 구성

20대, 30대 젊은 여성들의 유방, 유선 유관조직이 많으며
생리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는 상태
활동적인 유선, 유관조직은 통증, 단단함 등 다양한 느낌이 나타나는 시기
유방암이 드물게 발생

유방암 발생의 증가요인

1. 저출산, 짧은 수유기간, 이른 초경, 늦은 폐경 등 (여성호르몬 자극을 받는 횟수의 급격한 증가로 유선조직의 민감도 증가)
2.식생활의 서구화
3.생활환경의 오염
유방암 호발연령 : 40-50대( 30대 조기발병률이 점차 상승)

위험인자

유전

유방암 유전자의 이상으로 종양 억제 유전자에 돌연 변이가 일어나면 유방암의 발생율이 높아짐(어머니, 자매 또는 딸이 유방암에 걸렸을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도가 1.5~3배까지 증가)

호르몬

여성 호르몬은 세포 증식을 유도하여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키며 유방암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초경이 빠르고 폐경이 늦은 경우, 초산 연령이 늦은 경우,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에 위험도가 증가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는 환자는 보다 세밀하게 유방암 검진이 필요)

식생활

지방 섭취가 적은 아시아 계통의 여성들이 서구의 여성들 보다 유방암 발생율이 낮음.

호르몬

환경 오염은 신체에 있는 호르몬 작용을 교란시켜서 유방암의 발생율을 증가시킴.

방사선

중증도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된 경우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암이 발병할 수 있음

한쪽 유방에 유방암이 발생한 경우

임상 진찰

유방암 검진과 진단

유방암 초기 : 무증상

자가 검진

자가 검진을 통하여 본인이 스스로 혹을 발견할수 있습니다.
매달 규칙적으로 자가 검진을 하는 여성은 대부분 1기 상태에서 유방암을 발견합니다.
유방 자가 검진은 비용도 들지 않고, 위험성이 없는 좋은 방법으로서 널리 자가 검진을 권하고 있으며, 아직도 유방암 환자의 70% 이상이 자가 검진에 의해 발견하는 사실에 주목하면 자가 검진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방 자가 검진의 적절한 시기

매월 월경이 끝난 직후입니다. 이 때가 유방이 가장 부드럽기 때문입니다.
폐경기 후에는 매월 일정일(예: 1일, 15일, 30일)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자가 검진을 합니다.

자가검진 방법

거울 앞에 서서 유방을 비춰 보며 처음에는 두 팔을 차렷자세로 옆구리에 붙이고, 다음엔 두 팔을 머리 위로 높이 든 채,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두 손을 허리에 대고 앞으로 몸을 숙여서 유방과 유두의 대칭성, 피부의 변화 등을 관찰합니다.
다음으로 똑바로 누워 왼쪽(오른쪽) 어깨와 등 아래에 두꺼운 수건이나 베개를 받치고 왼손(오른손)을 머리 뒤에 괸 다음 반대편의 엄지, 인지, 중지 세 손가락을 모아서 손가락 전체로 유방 조직을 부드럽게 둥글리는 형태로 촉진합니다.
촉진할 때 유방의 양쪽을 체계적으로(예: 시계방향) 완전하게 해야 합니다.

유방암이 의심되는 증상

유방 멍울

아무런 통증도 없이 단지 단단한 덩어리로 만져집니다.유방 상외측에 가장 잘 발생하지만 겨드랑이 유방중 어디에도 생길수 있습니다.

유두 분비물

유관 세포의 증식으로 핏빛이나 진물 같은 분비물이 흘러 나올 수 있습니다.맑은 물이나 우유빛 분비물의 경우 유방암의 증상은 아닙니다.

유두 함몰

암 세포가 커지면서 주변의 유관을 잡아당기므로 유두 함몰이나 유두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피부 함몰

암덩어리가 커지면서 주변 조직을 잡아당기면서 생길 수 있습니다.

피부의 변화

암 세포가 피부까지 침범한 경우 피부가 붓거나 붉게 변할 수 있으며 피부 궤양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겨드랑이 림프절 증대

암 세포가 겨드랑이 림프절까지 침범한 경우 림프절이 크게 만져질 수 있습니다.

병력 기록

월경력, 임신력, 수유 상태, 가족력 및 과거력 등

진찰

누운 자세에서 유방 전문의로부터 유방에서부터 겨드랑이까지 시진, 촉진 및 유두 분비물 여부 등

영상 검사

영상 검사와 진단 (유방X선 촬영 및 초음파 검사발생과 정의)

영상검사의 목적 : 조기에 유방암발견
대상 : 35세 이상인 여성
검사주기: 매 1내지 2년마다 유방 X-선 촬영에 의한 선별검사

조기유방암이란?

아무런 증상이 없이 유방촬영검사에서 미세석화화가 여러 개 모여있는 소견이 관상피내암으로 판명된 경우
유방 초음파 검사에서 1cm 미만의 종괴가 보이면서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경우

유방X선 검사

유방을 누르면서 찍는X선 촬영
조기 유방암의 60-70%을 차지하는 군집 미세석회화 소견을 발견할 수 있는 필수적인 검사

유방암 X선 정상적인 유방형태

유방암 X선상 나타나는 유방암 모습

유방암에 나타나는 미세석회화 소견들 _ 유방X선상에서만 진단 가능함

유방 초음파 검사

유방암 X선 촬영에서 유방암이 의심되거나 판독이 어려운 경우(치밀유방이거나 비대칭음영일 경우)에 진단을 위한 보조적인 검사.
액와부전이상태(임파선 전이) 진단에 용이

유방암을 찾기 위한 꼭 필요한 조건

첫째 유방 촬영기기와 유방 초음파 기기가 필요하며
둘째 사진을 잘 찍어야 하며
셋째 판독을 제대로 하여야 합니다

1) 유방 촬영은 어떻게 찍나 - 유방 검사만 전담하는 방사선사가 촬영
2) 유방촬영 사진판독을 누가 하나 - 영상의학과 전문의
3) 유방 초음파검사를 누가 하나 - 전문적인 수련을 받은 여부 등에 따라 진단이 달라질 수가 있으므로 유방 영상 진단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가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기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기적인 영상 검사를 받아야 하며 특히 앞에서 설명한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곳에서 검사를 받으시기를 권장합니다

조직 검사

세포 검사

- 외래에서 시행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진단 방법
- 혹이 의심되는 부위에서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세포들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암세포 유무를 관찰하는 방법
- 비침윤성 유방암의 경우 병소를 놓칠 가능성이 있음

총 조직 검사

- 외래에서 시행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진단 방법
- 혹이 의심되는 부위에서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세포들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암세포 유무를 관찰하는 방법
- 비침윤성 유방암의 경우 병소를 놓칠 가능성이 있음

맘모톤 조직 검사

- 유방을 부분 마취후 2-3mm 길이로 작은 절개를 한 후 초음파를 보면서 바늘을 삽입한 후 바늘 내부의 절단기가 조직을 떼어내어 유방 밖으로 배출시켜 검사하는 방법
- 유방에 거의 흉터를 남기지 않고 멍울 제거와 조직 검사를 할수 있고 가장 정확하게 암 여부를 진단 할 수 있는 최첨단 장비를 이용한 검사방법

유방암 치료

수술적 치료

- 유방전절제술
- 유방보존술
- Oncoplastic 유방보존술 : 자가 지방 이식
- 감시림프절 생검술 및 액와 림프절 곽청술
- 기타 피부보존 유방절제술 등

항암치료

내분비 치료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

- 난소절제술, 부신절제술, 뇌하수체 절제술과 같은 수술적인 방법 - 난소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

1. 항에스트로젠 제재 : 타목시펜(tamoxifen) 초기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
유방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
2. 아로마타제 억제제 : 아나스트로졸(상품명 아리미덱스), 레트로졸(letrozole), 엑세메스탄(exemestane)등 부신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젠 생산을 차단
3. 황체형성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 : 폐경 전 난소의 기능을 억제
4. 에스트로젠 수용체 제거제 : 고세렐린(상품명 졸라덱스)

방사선 치료

방사선치료법은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을 쪼여 암세포를 파괴하고 성장을 중지시키는 치료법
방사선은 유방 표면에 (체외 방사선치료) 쪼이기도 하고 유방 내에 직접 방사선이 나오는 물질을 넣어(체내 방사선치료) 내부에서 쪼이기도 하며 때로는 이 두가지 방법을 겸하기도 함

표적 치료

HER-2라는 암유전자를 발현시키는 유방암을 표적으로 하는 HER-2 단클론항체 개발 FDA 승인을 거쳐 현재 HER-2 과발현을 보이는 진행성 유방암, 전이유방암 환자에서 단독요법 혹은 Paclitaxel과의 병합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음